산업재해 고위험사업장 집중 점검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산업재해 고위험사업장 집중 점검 |
- ’25년 제3차 현장점검의 날, 50인(억) 미만 산재 취약 사업장 중점 점검 |
고용노동부(장관 김문수)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사장 안종주)은 2월 12일(수), 제3차 현장점검의 날에 중소규모 고위험 사업장을 대상으로 3대 사고유형, 8대 위험요인*을 중점 점검한다.
* 3대 사고유형은 사고 사망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추락, 끼임, 부딪힘이고, 8대 위험요인은 비계, 지붕, 사다리, 고소작업대, 방호장치, 정비 중 운전정지, 혼재작업, 충돌방지장치임
지방고용노동관서별로 자체 파악한 위험기계[끼임, 부딪힘] 및 밀폐공간[질식] 보유 사업장, 골조[추락], 굴착[무너짐], 도장 및 방수[화재] 공정이 있는 건설 현장 등을 중심으로 주요 위험에 대한 안전조치 이행 여부를 일제 점검한다.
특히, 겨울철에는 낮은 기온과 건조한 환경으로 현장에서 화재‧폭발, 붕괴, 중독‧질식 등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사업장의 예방 조치사항을 중점적으로 확인하고 지도한다. 또한, 옥외작업을 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한랭질환(저체온증, 동상 등)을 예방하기 위한 3대 기본 수칙*도 안내한다.
* ➀ 따뜻한 옷 착용, ➁ 따뜻한 물 섭취, ➂ 따뜻한 쉼터에서 휴식
현장점검 결과, 위험성평가 또는 안전보건관리체계 전반에 대한 지원이 필요할 경우 안전보건 컨설팅과 재정지원 사업을 사업장에 적극 연계할 계획이다.
최태호 산재예방감독정책관은 “사업주는 근로자가 현장에서 안전하게 근무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안전보건조치를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하면서, “정부의 컨설팅 및 재정지원 사업을 활용하여 사업장의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데 노력해 달라.”라고 당부했다.
첨부파일
- 250212 현장점검의 날 산업재해 고위험사업장 집중 점검안전보건감독기획과.hwpx (1.6M) 0회 다운로드 | DATE : 2025-02-17 16:03:12
- 250212 현장점검의 날 산업재해 고위험사업장 집중 점검안전보건감독기획과.pdf (1,004.8K) 1회 다운로드 | DATE : 2025-02-17 16:03:12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