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추락 및 붕괴, 화재 사고 예방 집중점검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건설현장 추락 및 붕괴, 화재 사고 예방 집중점검 |
- 제7차 현장점검의 날, 사고 위험도 높은 건설현장 선정하여 감독‧점검 - 사업장 화재 안전조치 및 산불 피해복구 작업 시 안전조치 지도 |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4월 9일(수) 제7차 현장점검의 날에는 건설현장의 사고예방에 집중한다. 최근 건설업종에서 사망사고가 증가하고 있고, 추락 및 붕괴, 화재로 인한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고용노동부는 전국 지방고용노동관서별로 자체 파악한 추락 및 붕괴, 화재 사고 발생 위험성이 높은 건설현장을 불시방문하여 감독‧점검한다. 산업안전보건법 전반을 감독하여 법령 위반사항에 대해서는 행정‧사법 조치하고, 사고 유형별 핵심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있는지 철저하게 확인‧지도한다.
< 추락 및 붕괴, 화재 예방을 위한 핵심 안전 수칙 >
구분 | 주요 원인 | 핵심 안전 수칙 |
추락 | ▪ 지붕 보수작업 중 추락 ▪ 개구부, 단부에서 추락 ▪ 사다리 작업 중 추락 | ◽ 지붕에 작업발판, 덮개 설치 등 ◽ 안전난간‧추락방호망 설치, 개구부 덮개 고정 등 ◽ 안전모‧안전대 착용, 아웃트리거 설치 |
붕괴 | ▪ 가설 구조물 설치 중 붕괴 ▪ 콘크리트 타설 중 붕괴 ▪ 굴착 및 기초작업 중 토사 붕괴 | ◽ 구조검토 및 조립도 작성·준수 ◽ 콘크리트 타설방법 준수(집중타설 금지 등) ◽ 굴착면 기울기 준수, 흙막이 지보공 설치 |
화재 | ▪ 용접‧용단 작업 중 불꽃 등 | ◽ 가연물 파악 및 안전장소 보관 ◽ 용접 시 불티 비산 방지 조치, 화재감시자 배치 ◽ 비상구 설치 여부, 피난시설, 방화구획 여부 |
이와 함께, 용접‧용단 작업의 불티 비산 방지 조치 등 사업장 화재 안전 조치 여부를 점검하고, 산불 피해 특별재난지역(경북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 경남 산청·하동, 울산 울주)의 복구과정에서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조치 필요사항에 대해서 충실하게 안내‧지도한다.
최태호 산재예방감독정책관은 “최근 사망사고가 집중되고 있는 건설업종에 대해서 4월 한 달간 안전 실태를 중점 관리하고 있다”라고 하면서, “건설현장에서는 추락‧붕괴 및 화재 사고의 위험요인이 있는지 미리 살피고, 확인된 위험요인을 즉시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 출처 : 고용노동부
첨부파일
- 250409 현장점검의 날_건설현장 추락 붕괴 화재 사고 예방을 위한 집중 점검안전보건감독기획과7.hwpx (2.8M) 2회 다운로드 | DATE : 2025-04-11 22:59:15
- 250409 현장점검의 날_건설현장 추락 붕괴 화재 사고 예방을 위한 집중 점검안전보건감독기획과7.pdf (938.0K) 5회 다운로드 | DATE : 2025-04-11 22:59:15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